Basic
기호 | 설명 | Ex |
"#" | 주석 | ![]() |
"a1 <- 1" | a1이라는 이름의 변수에 값 "1"을 대입 | ![]() |
"ls()" | 생성한 변수(객체)의 이름을 확인 | ![]() |
";" | 여러 명령어를 한 줄에 입력하고 싶을 때 세미클론을 활용 | ![]() |
"a1" | a1이라는 이름을 가진 변수의 값을 확인 | ![]() |
"rm(x)" | x라는 이름의 변수를 삭제한다. | ![]() |
vector <- c(1, 2, 3, 4) |
> vector라는 이름의 변수에 벡터(1, 2, 3, 4)를 대입 |
![]() |
alpha <- c("a", "b", "c") |
벡터에서 문자 입력도 가능하다. (""사용) |
![]() |
log <- c(TRUE, FALSE) |
논리를 나타내는 log라는 이름의 벡터 |
![]() |
![]() |
주문된 커피들을 CoffeeType 변수에 입력한 후 factor()함수를 이용해 Level을 가진 factor형 변수로 변환했다. factor형 변수로 바꾼 후 summary() 함수를 호출해 이름 순으로 나열해 빈도수를 보여준다. |
연산
기호 | 설명 | Ex |
"+" | 덧셈 | ![]() |
"-" | 뺄셈 | ![]() |
"*" | 곱셈 | ![]() |
"/" | 나눗셈 | ![]() |
"%/%" | 나눈 후 몫 | ![]() |
"%% | 나눈 후 나머지 | ![]() |
벡터에서의 연산
Ex |
설명 |
![]() |
벡터는 행렬에서의 열이다. 따라서, 각 열의 Index와 맞물리며 연산하게 된다. 아래는 각 열의 Index가 맞지 않을 때이다. |
![]() |
vector1의 index: 1인 "1" * vector2의 index: 1인 "10" = 50 + α) R에서 시작 Index는 1이다. |
함수
![]() |
다른 언어에서는 for문을 사용해야하지만, R은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from, to, by는 생략 가능 -C- int* seq; |
![]() |
rep() 이 함수는 지정한 값을 지정한 횟수만큼 붙여넣는다. > rep(1, 3) = 1을 3번 반복 > rep(c(1, 2, 3), 3) = 벡터(1, 2, 3)를 3번 반복 > c(rep(1, 2), rep(5, 3)) = 벡터에 1을 2번 반복, 5를 3번 반복) > rep(c(1, 10), c(2, 3)) = 벡터(1, 10)를 벡터(2, 5) 반복 |
댓글